중소기업 청년소득세 감면제도는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기업에 취업할 경우 취업일로부터 3년이 되는 날이 속하는 달 말일까지의 소득세 일정률을 감면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중소기업에 근무 중인 청년들에게 소득세를 감면해주는 혜택이라고 보면 됩니다.오늘은 이러한 중소기업 청년소득세 감면 조건 및 경정청구 총정리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지켜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중소기업 청년소득세 감면 조건 및 경정청구 총정리
일정 요건의 기업에 취업할 경우 3년이 되는 날이 속하는 월 말일까지의 소득세 일정률을 감면받을 수 있는 제도로 중소기업에 근로 중인 청년들에게 소득세를 감면해주는 혜택으로 보면 됩니다.
중소기업 청년소득세 감면 대상을 살펴보면 2012년 1월 1일 이후 취업한 자로, 이 경우 중소기업 기준은 자산이 5000억 미만이며 중소기업 규모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로 보고 참고하면 됩니다.이러한 청년의 조건은 신청일 기준 만 34세 이하이지만 60세 이상이나 장애인, 그리고 경력단절 여성의 경우에도 혜택이 된다는 것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청년의 경우 감면기간이 5년이고 만 60세 이상 고령자, 장애인 등 경력단절여성은 감면기간이 3년이지만 연령을 계산할 때는 군 복무기간을 제외하고 계산하면 됩니다.< 감면대상 업종 >
중소기업 청년소득세 감면으로 기업의 업종도 정해져 있는데, 즉 중소기업 청년소득세 감면에서 기업의 업종을 보면 농업, 임업 및 어업, 광업, 제조업, 수도사업, 환경복원업, 운수업, 음식점업 등이 있으니 자세한 내용은 사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소득세 감면율>
소득세 감면율을 보면 취업일에 따라 감면율이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 청년의 경우 2012년부터 2013년 한도 없이 100%, 2018년부터 2021년 150만원 한도에서 90%로 확인됩니다.또한 경력단절여성의 경우 2017년부터 2018년에 150만원 한도에서 70%, 60세 이상인 사람 및 장애인의 경우 2016년부터 2018년에는 150만원 한도에서 70%로 생각하시면 됩니다.<신청 안내>
중소기업 청년소득세 감면을 신청하고자 할 때는 국세청 홈택스에 접속하여 신청/제출 메뉴에서 과세자료 제출 아래 ‘중소기업 취업자에 대한 소득세 감면 명세서’를 클릭합니다.화면이 이동하면 제출 방식을 선택해서 직접 작성 제출 방식을 선택해 줍니다.여기서 중요한 것은 국세청 홈택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인증서를 통한 본인인증 로그인이 반드시 필요하므로 반드시 주의하시고 절차에 따라 항목을 입력하시기 바랍니다.과세자료 제출 항목에서 기본정보, 상세내역, 과세자료에 대한 것을 입력한 후 제출내역으로 옮겨 해당 절차대로 하면 간단해집니다.<소득세 감면 경정청구>그럼 중소기업 청년소득세 감면 경정청구에 대해 살펴보면 경정청구 역시 ‘국세청 홈택스’를 방문해 신고/납부 메뉴에서 종합소득세를 선택해 줍니다.화면이 이동하면 종합소득세를 신고할 수 있도록 메뉴가 나오는데 여기서 근로소득신고를 클릭해주시면 오른쪽에 경정청구를 선택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메뉴가 나옵니다.이렇게 절차대로 진행되면 어렵지 않게 경정청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한 번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오늘은 중소기업 청년소득세 감면 조건 및 경정청구 총정리에 대해 자세히 말씀드렸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잘 참고하셔서 유용하게 사용해주세요.